백준을 풀면 다들 문제가 무슨 티어냐?라는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리고 문제를 보면 옆에 티어와 함께 숫자가 나타나 있습니다.

백준 문제를 들어가면 위 사진처럼 티어의 색깔과 티어 숫자 그리고 문제의 숫자가 나와있습니다. 티어를 나눠두어 쉬운 문제와 어려운 문제를 구분하고, 처음 문제를 접하거나 공부를 시작할 때 쉬운 문제부터 차근차근 풀어나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티어를 모르면 어떤 문제가 어려운지 쉬운지 알 수가 없으니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각 티어마다 1~5까지의 숫자가 있고 숫자가 작아질수록 난이도가 올라갑니다. 예를 들어, 티어 1 문제가 티어 5 문제보다 어렵습니다.


루비(Ruby) 티어: 가장 높은 티어입니다.
다이아(Diamond) 티어

플레티넘(Platinum) 티어

골드(Gold) 티어


실버(Silver) 티어
브론즈(Bronze) 티어: 가장 낮은 티어입니다.

미측정: 아직 티어가 측정되지 않았습니다.
갑자기 궁금해져서 찾아봤습니다.
추가적으로 백준 사이트에서 설정 > 보기 > solved.ac 티어 이름(문제 제목 하단) 설정을 보기로 변경하면 더 쉽게 표기됩니다.


'알고리즘&코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코테 꿀팁] 배열의 원소 찾기에서 시간 초과가 나온다면? Set.has() 생각하기 (1) | 2025.04.14 | 
|---|---|
| [코테 꿀팁] JS 코딩 테스트 (0) | 2025.03.20 | 
| [알고리즘]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사용 이유 (0) | 2025.02.26 | 
| [알고리즘] 순열, 조합 in JavaScript(Refactoring) (1) | 2025.02.07 | 
| [자료구조] JS Heap 구현 ver.2 (0) | 202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