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What is sub issue(sub issue가 뭐여)?
Github에서 새로운 issue를 추가하는데, create sub issue라는 버튼이 보여서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누가?
해당 리포지토리에서 최소 triage permissions에 해당하는 권한을 가진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triage permissions이 어느 정도의 권한이 있는지 궁금하거나 다른 권한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고 싶다면? 여기로▷
왜?
이슈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슈의 규모도 다양합니다. sub issue 기능은 큰 규모의 이슈를 작은 단위의 task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상위 이슈별로 필터링을 할 수 있고, 진행률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하위 이슈 자체에 하위 이슈가 포함될 수 있어 전체적인 작업을 시각화하고 이슈 간의 관계를 보여주며 계층 구조로 만들 수 있습니다.
어떻게?
Create sub-issue 버튼을 통해서 하위 이슈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기존 issue를 등록하는 방법과 같습니다.
1. Create sub-issue 버튼을 누릅니다. 원하는 레포지토리와 템플릿을 선택합니다.
2. 기존에 issue를 작성하던 방식과 같이 제목 및 내용을 입력합니다. 담당자(Assignee), 라벨(Label), 프로젝트 및 마일스톤(Project & Milestone)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하단에 Create more sub-issues의 체크 박스를 누르시면, 여러 sub issue를 이어서 작성할 수 있습니다.
3. sub issue가 잘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sub issue를 만들기를 원하시면 Create sub-issue 버튼으로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 참고로 우측 ... 버튼을 통해 sub issue를 삭제하셔도 실제 issue는 삭제되지 않습니다. 실제 issue를 삭제하기 원하시면 직접 issue로 들어가셔서 삭제하셔야 합니다.
또한 추가 옵션으로 Add existing issue 기능을 통해 기존에 있던 issue를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1. 기존 issue를 추가하면 위와 같이 지난 이슈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뒤로 가기 버튼을 누르면 다른 레포지토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원하는 이슈를 선택하면 바로 sub issue로 등록됩니다.
다른 리포지토리에 있는 이슈 또한 추가할 수 있다는 점은 좋은 것 같습니다.😮
이상 Github의 sub issue 기능을 알아봤습니다.
참고
https://docs.github.com/en/issues/tracking-your-work-with-issues/using-issues/adding-sub-issues